일본의 유명한 여성 커뮤니티인 걸스채널에서 2018년도 월급 실수령액에 대한

글이 게시되었으며 수많은 댓글들이 달렸습니다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겠지만 대체적으로 예상했던 것보다 적거나 오히려 한국 보다도 수령액이 적은감이 있습니다


대부분 언급되었던 직군이 전문직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말이지요


엔의 환율이 현재기준 100엔 = 992원입니다 천원도 되지 않는군요


[2018년]월급 실수령액이 얼마입니까?


1. 익명

직종과 나이, 지역도 알려주세요

참고로 저는 10만엔(약100만원) 전후

센다이에서 주부를 하면서 파트타이머로 일하고 있습니다


2. 익명

이와테 영업사무직 , 24세 20만엔(약 200만원)


3. 익명

백수 용돈 3만엔(약 30만원)


4. 익명

13만엔

누구나 들어본적이 있는 은행의 대졸 정규직입니다 괴롭다..


5. 익명

요코하마 사무(회계도 가끔)

226천엔(약 220만원)


6. 익명

대학 사무국 (정직원)

내일이면 3년째입니다

잔업 없이 실수령액 20만엔

사치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더 벌고 싶다


7.익명

파트타이머 15만엔 정도..


8. 익명

경비 정구직 10만엔 .. 조금입니다


9. 익명

변호사의 아내입니다(반대표 많이 받음)


10.익명

교사 

실수력앵 30만엔


11.익명

나가노 의료서무 21세 14.5만엔


12.익명

타인의 월급이 궁금한 이유를 알고 싶네요

타인의 월급을 부러워 해봐야 자신의 월급이 오르지 않는다


13.익명

26세

파견직 20만 , 기숙사비는 회사가


14.익명

아와오도리 30대 , 보육사

풀타임 22만엔입니다


15.익명

영업 정규직 35만엔

영업 성적에 좌우되지만 25~35만 사이입니다


16.익명

10>>뭐? 나도 교사이지만 실수령액 25만엔 도쿄다


17.익명

도쿄 의료 관련직 29세 잔업 및 초과 근무 후 20만엔


18.익명

아라 사무직, 현재 실수령액 17만엔입니다


19. 익명

실수령액 30만엔 가나가와현 45엔  맞벌이 자녀 없음


20. 익명

28세 IT관련 24만엔


21.익명

시즈오카 31세 독식 280만엔


22. 익명

오사카 제조업 15만엔

보너스, 퇴직금 보이지 않는다 그만두고 싶다


23.익명

최저임금으로 일하는 계약직

월 8만엔

공휴일 많으면1~2만엔 줄어든다


24.익명

간사이 20대 초반

회사 사무 아르바이트

12만엔 정도


25.익명

프리랜서 엔지니어 

총 지급액 35만엔 도쿄 40세 독신입니다


26.익명

도쿄도내 글쓰고 있습니다

약 70만엔 정도


27.익명

47세 잔업이 많다 26~32만엔 전후

플러스로 보너스

후생 연금보험료가 2.6만 정도로 높다


28.익명

간호사 실수령액 34만엔


29.익명

31세 도내 기업 총무 겸 일반 사무

전직 올해 2년째 정규직

실수령액 16만엔

작업 내용이 수월하기도 하고 보너스와 퇴직금 나오니까

고맙다고 생각하며 다니고 있다


30.익명

총무 경리 사무 

잔업은 많은데 실수력액 16만엔이다

하지만 보너스는 연간 100만엔정도

후쿠오카이지만 굳이 말하면 시골지역


31.익명

효고현 15만엔

접객업입니다

9시간동안 서있는채로 일합니다

체력 한계가 있는 40대입니다


32.익명

22세 도쿄

프리랜서로 매월 실수령액 40~60만엔 정도


33.익명

피부과 접수 카운터 정규직

실수령액 11만엔

현재 친가에서 생활하고 있고 독립하고 싶지만 솔직히 부족하다

생활은 가능하다 할지라도 저축 자체가 무리 , 빨리 자립하고 싶어서

이직 생각하고 있다


34.익명

22세 익명

도쿄 실수령액 23만엔


35.익명

백수 22세 13만엔 


36.익명

생산 근무 30대

실수령액 27만엔

월세 공제 자사주 2만엔분 소유하고 있습니다


37.익명

치바현 39세

의류의 판매 겸 관리직

실수령액 32만 전후입니다


38.익명

여주인 24만엔

경영자인 남편으로 부터 받는 급여



39.익명

도쿄 보육사 대졸(23세)

실수령액 19만엔입니다 하지만 지난번 보조금으로 10만엔 받았다


40.익명

이와테

평균 15만엔

사무직

소비세는 오르는데 월급은 감소했다

지방의 중소기업은 진짜 괴로워


41.익명

보험 정규직 실수령액 15만엔

총 지급은 21만엔 정도인데 세금으로 가져가는게 과도하다


42.익명

도쿄 의료 사무 정규직

20만엔입니다 30세


43.

풀타임 사무 12만엔 . 교통비는 전액 지원해주는건 고맙긴 하지만..


44.

히로시마

계약직

11만엔


45.

병동간호사 26세 실수령액 33만

하지만 심한 잔업이 있다


46

IT계 영업

도쿄33세

23만엔



47

공무원 32세

실수령액 18만엔

공무원 월급 높다고들 말하지만 낮다 . 추가 잔업 

주말출근도 있어


48.

치바현 42세

파견 사원 무역 사무

실수령액은 잔업없이 22만엔

초과근무 많으면 28만엔 정도


49

이발사

기본급 13만 5천엔

정규직 이발사 면허 있음

유급 휴가없이 22시까지 근무


50

모 유명 전문가로 일하고 있습니다

38세

실수령액 47만엔~

그냥 독신

성격에 문제 없음 


51

간사이

회계

18만엔

부모의 회사이기 때문에 스트레스 없음


52.

병동 간호사 3년차

잔업 15~20시간 

야근 5회

26~27만엔


53.

히로시마 공무원 25세

18만엔


54.

미용 관련직

17~18만엔

보너스 없음


정말 미용관련은 저소득

이직하고 싶은데 너무 늦었나..


55

24세 간호사

실수령 22만엔 물론 야근했을 경우


56

영양사 22만엔

보통의 영양사들이 받고 있는 정도라고 생각함


57.

개인병원 간호사

10만엔 전후

보너스는 1월분만 받는다


58

모두 월급이 높아 부럽군

규슈 영업 정규직 6년째

실수령 12만

잔업 수당 없이

지금까지 사무직만 일했었지만 이런 바쁜 직장은 처음이라 생각할 정도로

바쁘지만 월급은 가장 낮다

나이가 이직하기 어려운 정도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59

미야기 시골 

현재 25세

이전은 호텔 프론트 신입 3년차까지

총 20~21엔 정도

보너스 2개월분 포함

잔업 40시간 정도 야근 10일 정도 휴식은

거의 취하지 못하고 심신이 너덜너덜해진 후에야 퇴직


4월 부터 이직 회계사무

아직 계약직이라 월급 받고 있지 않다

고용조건으로 실수령 12만엔 정도

보너스는2.5개월분


60.

미야기 시골

31세 정규직 총무 사무 14만엔


61.

중소기업 연구직 16.5만엔


62.

30대 보육사 정직원

실수령액 16만엔

8년째


63.

치과 위생사 

실수령액 23만엔 정도


64.

히로시마 건축설계

28세

잔업없이 21만


65.

아베노믹스거나 호황이라거나 어느나라 말인지 잘 모르겠다

매일 열심히 일하는데 돈이 모이지 않는다


66.

조리원 풀타임

실수령 12만엔

30세


67.

사이타마 22세 청소업

13만엔



68.

모두 월급이 낮구나 

지금만 그런건가?

일할 마음이 사라졌다


69.

도쿄 30대 초반 풀타임

16만엔 

눙물...


70.

백화점 전문직 35세 16만엔

보너스 1.3만엔


71.

국가가 일할 수 있는 사람 

외국인에 대한 보호를 멈추고 어떻게든 해주었으면 한다 

무엇을 위한 세금인가? 매월 높은 세금을 납부하고 있는데

우리는 어차피 노후 연금을 받지 않는다 최근 은퇴 한 부무도

정말이지 불쌍한 금액이었다 . 일본인은 어느 나라처럼 

발광도 데모도 하지 않는 얌전한 민족이니까 그런거냐

그래서 인지 정말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한국을 언급하는듯)


72

지방 거주 일반 사무 30세

15만 정도

몇년전에 이직 , 보너스 월급 이전직장 보다 낮지만 작업의 대부분이 

한가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73

정규직 시공 관리 30세

실수령 18만엔

보너스 년 2회 30~50만엔


거의 백프로 사무직만 현장은 거의 가지 않는다

바쁜 시간 외에는 널널하다


74

오사카 회계 43세 

27만엔 정도

잔업은 하지 않는다 













Posted by ːː
,